1. 시장은 언제나 변동성 속에 있다
올해 여름, 특히 8월과 9월은 투자자에게 어려운 시기일 수 있습니다. 이 시기는 전통적으로 시장의 조정 구간으로 여겨지며, 실제로 수많은 데이터를 통해 그 경향이 입증되어 왔습니다. 체슬리투자자문 박세익 대표는 이러한 시기에 투자자들이 취할 수 있는 전략을 명쾌하게 제시했습니다.
그는 **공포 지수로 알려진 빅스(VIX)**와 같은 객관적 지표를 기반으로 시장 고점과 바닥을 파악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며, 이 시기를 ‘기회’로 바꾸는 투자 철학을 강조합니다.
2. 시장을 보는 눈: 기업 경쟁력과 수급
경쟁 우위가 중요한 이유
주식 투자는 단순히 산업의 성장성만 보고 접근해서는 안 됩니다. 예를 들어 반도체, 2차전지 같은 분야는 산업적으로 매력적일 수 있지만, 개별 기업의 경쟁력이 약화된다면 실제 주가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이닉스는 경쟁 우위를 바탕으로 이전과는 다른 1등 기업의 밸류에이션을 받으며 주가가 움직이고 있습니다. 단순히 산업 전체가 성장한다고 해서 모든 기업의 주가가 상승하는 것은 아니라는 뜻입니다.
외국인의 수급
올해 5~7월 동안 외국인 투자자들은 10조 원 이상을 순매수했지만, 연초부터 따져보면 13조 원 규모의 순매도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이 말은 곧, 하반기에 들어설수록 외국인의 추가적인 매수 여력이 충분히 존재한다는 점입니다.
3. 시장의 바닥과 고점은 어떻게 판단하는가?
풋콜레이쇼: 투자 심리의 거울
풋콜레이쇼는 풋옵션 대비 콜옵션의 비율로,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를 반영합니다.
- 1.3 이상으로 올라가면 ‘공포가 심화된 구간’으로 단기 바닥을 의미할 수 있으며,
- 콜옵션에 과도하게 쏠릴 경우에는 시장이 단기 고점에 근접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박 대표는 이 지표의 과열 신호로서의 유효성은 낮다고 보며, 저점 판단에 더 효과적인 지표로 활용하라고 강조합니다.
빅스(VIX) 지수: 공포가 곧 기회다
박 대표가 특히 강조한 지표는 **빅스(VIX)**입니다. 이는 S&P500을 기반으로 한 옵션의 변동성을 나타내며, 흔히 '공포지수'로 불립니다.
- 빅스가 25 이상으로 급등할 때는 헤지펀드들이 리스크 관리를 위해 주식 포지션을 줄이는 시점으로, 우량주를 싸게 매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 2023년 4월에는 빅스가 52.3까지 상승했으며, 당시 나스닥이나 반도체 ETF에 투자했다면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었습니다.
- 반대로 빅스가 16을 하향 돌파할 때는 단기 고점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 매도 시점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4. 시장 추세를 보는 방법
월봉 차트와 5개월 이평선
월봉 차트에서 5개월 이동평균선은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이 선이 지지되는 한 시장은 상승 추세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2021년 6월 고점 이후 코스피는 8월에 5개월선을 이탈하면서 하락장으로 전환된 사례가 있습니다.
- 현재는 이 선을 지지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추세를 따라가는 전략이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MACD 오실레이터와 RSI
기술적 지표도 박 대표는 적극 활용합니다.
- MACD 오실레이터가 플러스로 전환되면 상승 추세에 진입한 것으로 해석하며, 현재 시장은 2024년 5월부터 MACD가 플러스로 돌아선 상태입니다.
- RSI는 과열 상태를 파악하는 지표로, 코스피 월봉상 RSI가 70에 근접하고 있어 상승 여력이 남아 있다고 분석합니다.
5. 8~9월의 계절적 리스크, 그리고 기회
과거 사례를 보더라도 8~10월은 항상 주의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 2020년에는 미국 대선 전 조정이 있었고,
- 2022년 9월 잭슨홀 미팅 여파로 시장이 급락했으며,
- 2023년 8~10월에는 미국 국채 금리 급등이 조정을 유발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시기를 ‘수비적’으로 접근하되, 빅스 급등과 주가 폭락이 발생하면 공격적으로 전환할 것을 제안합니다.
또한, 9월은 나스닥의 월간 평균 수익률이 유일하게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달로, 특히 조심해야 할 시기임을 강조합니다.
6. 현재 시장의 긍정적 변화
2025년 시장은 이전과 달리 긍정적인 변화가 많습니다.
- 상법 개정, 중국 경기 회복, 약달러 전환 등이 그 원인입니다.
- 이로 인해, 2023년 같은 급락장이 아닌, 완만한 조정 후 재상승 흐름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코스닥 시장은 10월부터 내년 3월까지 매우 강한 상승장이 예상되며, 투자자들은 지금의 조정 국면을 저가 매수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 2편에서는 삼성전자, 반도체 시장, 달러 인덱스와 금리 동향, 글로벌 지표 분석 등 더욱 심화된 전략을 다룰 예정입니다.
#주식투자 #공포지수 #빅스지수 #MACD지표 #RSI지표 #8월투자전략 #시장조정 #코스피전망 #코스닥기회 #체슬리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을 읽는 힘, 공포와 기회 사이 – 체슬리투자자문 박세익 대표 인터뷰 (2편) (2) | 2025.08.07 |
---|---|
AI 거품이요? 아직 시작도 안 했습니다 (한동대학교 김학주 교수) (4) | 2025.07.28 |
한국을 더 사랑하는 미국 교수님이 말한 ‘진짜 한국다움’ 샘 리처드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0) | 2025.04.07 |
말만 하면 코딩을? 진짜야! 요즘 AI 개발 판, 완전 미쳤다 (1) | 2025.04.04 |
1000만원을 10억으로! 상승할 종목 찾는 법 - 홍인기 투자자의 전략 (1) | 2025.02.19 |